2022. 10. 13. 07:45ㆍ유해지기란 무엇인가?/유해지기 기호 혐오 동식물
유해 지기를 싫어하는 동식물과 좋아하는 동식물
Gertrud I. Huerlimann, Pendeln ist erlernbar, M &T Verlag, Zuerich, 2. Auflage, 1988, p. 135-138
동물과 식물은 유해 지기를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으로 나누어진다. 거의 모든 유해 지기를 좋아하는 동식물은 지하 수맥을 좋아하고, 어떤 식물은 단층 위에서 잘 자란다. 대부분 단층에 물이 스며들어 지하 수맥이 형성된 유해 지기 지역을 좋아한다.
1. 유해 지기를 싫어하는 동식물
유해 지기를 싫어하는 동물은 오소리, 여우, 개, 토끼, 말, 소(숫소는 유해 지기 지역에서 성질이 나빠진다), 양, 돼지, 염소, 사슴, 산돼지, 곰, 늑대, 수리 따위의 고급 사냥감인 짐승, 일반적인 새 종류, 특히 제비, 비둘기, 황새(특히 황새는 물을 좋아하는 섭금류(涉禽類)이나, 둥지를 지을 때는 유해 지기를 피한다) 등이 있다.
인간에게도 다른 동물과 같이 임신과 출산에 그대로 자연 법칙이 적용된다. 왜 황새가 아기를 낳게 하는 가에 대한 하나의 이유가 될지도 모른다. 인간은 유해 지기를 싫어하는 동물이다.
유해 지기를 싫어하는 식물은 진달래, 베고니아(秋海堂), 라일락, 선인장, 해바라기, 사과나무, 배나무, 너도밤나무, 보리수나무 등이 있다. 이런 나무는 자신이 자리 잡은 땅을 선택할 수 없다. 그러나 유해 지기가 없는 곳에서 더 잘 자란다.
유해 지기를 싫어하는 나무가 유해 지기가 있는 지역에 자리 잡으면, 이 나무는 말라죽거나 아니면 암과 같은 덩어리가 생겨나서 자신의 고통을 알리거나, 비스듬히 자라면서 유해 지기를 피하거나, 가지가 2 갈래로 갈라지거나, 나무가 꼬이면서 자란다.
프리케(Fricke) 씨에 의하면 너도밤나무는 시계 방향으로 꼬이면서 자라는 나무가 많고, 참나무(참나무는 유해 지기를 좋아하는 나무)는 반시계 방향으로 꼬이는 나무가 많은 것을 관찰하였다.
2. 유해 지기를 좋아하는 동식물
프리케(Bruno Fricke) 씨의 연구에 의하면 유해 지기를 좋아하는 동물들은 여러 가지의 유해 지기의 종류를 구별할 수 있다고 한다. 이 동물들은 항상 지구 격자 그물(Globalnetzgitter, 그물 모양으로 지표면에 입체적으로 분포하는 유해 지기 구역)의 교차점을 피한다. 예외는 겨우살이이다.
유해 지기를 좋아하는 동물은 개미, 벌, 오리, 올빼미, 고양이, 두더지, 뱀, 말벌 등이 있다.
유해 지기를 좋아하는 식물은 아스파라거스, 쐐기풀, 고사리, 디기탈리스, 콜히쿰, 서양 말오줌풀, 꼬리솔나물, 박하, 겨우살이, 황색의 작은 살구, 복숭아, 자두(핵과<核果>는 유해 지기를 좋아한다.), 벨라도나, 오리나무, 독일 가문비나무, 낙엽송, 전나무, 버드나무, 참나무 등이 있다.
벼락은 지하 수맥의 교차점 위에 자라고 있는 나무를 선호하여 때린다. 그래서 독일 속담에 참나무는 피하고, 너도 밤나무를 찾아라(지하 수맥의 교차점과 지구 격자 그물은 다르다)라는 말이 있다.
담쟁이 덩굴, 금작화속(Ginster), 노간주나물는 단층의 생 지표로 여겨진다. 이 식물들은 부차적으로 지하 수맥을 좋아한다. 들짐승들의 통로나 작은 동물들이 다니는 길은 항상 지하 수맥이나 지질학적인 단층을 따라서 길이 나있다. 박테리아, 분열균, 구균, 바이러스 등은 유해 지기가 있는 곳에서 더 잘 번식한다. 유해 지기를 좋아하는 동식물의 오라(aura)는 유해 지기 구역 위에서 급격히 커진다.
모든 개미집은 개미집이 초원에 있거나 숲 속에 있거나, 집 근처에 있거나 항상 지하 수맥의 교차점에 놓여 있다. 개미집이 파괴되면, 개미들은 지하 수맥을 따라 다시 새로운 지하 수맥의 교차점까지 옮겨간다. 이 사실은 오래 전부터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은 프리케 씨에 의하면 특정한 유해 지기를 찾는 동물들은 여러 종류의 유해 지기를 분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생 지표(生指標)로서 인간, 동물 또는 식물을 여러 물리학적인 상황을 잘 분별할 수 있는 생물로 지목하였다. 여기에는 개미도 포함된다. 프리케 씨의 연구는 단너트(Hans Dannert) 씨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단너트 씨는 모든 유해 지기를 유해 지기 구역의 생물학적인 작용에 따라, 즉, 유해 지기 지역이 유발한 병을 3 가지의 색을 사용하여 3 그룹으로 나누었다.
적색: 지하 수맥과 단층, 혈액병, 신진대사의 병
녹색: 지하 수맥의 간접 영향권과 단층의 간접 영향권, 기관(器官)의 병
황색: 지구 격자 그물의 선과 교차점, 고압선, 지하의 고압 케이블 등의 전기선, 신경병과 정신병
프리케 씨와 그의 연구팀의 관찰 결과 붉은 숲 개미는 집을 항상 적색의 교차점과 녹색에 건설하나, 황색은 엄격하게 피한다. 조그만 개미들은 반대로 적색과 황색을 좋아했다. 즉, 지구 격자 그물과 전기선의 영향이 더해진 지하 수맥 구역을 좋아했다.
개미산은 류머티스를 치료하는 효과적인 약이다. 개미산은 붉은 숲 개미로부터 얻어지고, 황색 유해 지기 구역에 사는 조그만 개미에게서는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벌도 지하 수맥 상이나 지하 수맥의 교차점을 선호하는 것이 틀림없다. 양봉업자는 지하 수맥의 유해 지기 방사 구역에서 2 - 3 배의 꿀을 더 수확할 수 있다. 여러 서적에서 이것에 대하여 많은 반대 의견을 발표하였다. 벌집은 항상 유해 지기 방사가 있는 지역에 자리를 잡는다.
유해 지기에 의하여 발생한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자연 치료자들은 여러 가지 약과 함께 꿀과 벌독을 사용한다. 꿀에는 개미산이 들어 있고, 꿀을 먹음으로서 인체 세포의 P.H. 치가 정상적으로 된다.
고양이가 좋아하는 자리는 사람은 피해야 한다. 특히 침대 자리는 조심해야 한다. 고양이는 항상 유해 지기가 방사되는 자리를 찾는다. 고양이털은 특히 류머티스 환자들이 아픈 부위에 두르면 통증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다.
특정한 자연 치료제는 지구의 유해 지기 방사를 받는 식물로부터 얻어진다. 이 식물들은 땅의 유해 지기방사가 있는 구역에서 자라면서 식물 내에서 치료제를 만들어 낸다. 겨우살이는 반 기생충이다. 겨우살이는 엽록소를 만들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식물과 같이 지상에 살 수 없다.
겨우살이는 다른 나무에 의존하여 살아간다. 대부분 식물은 발아하는 데 어두운 장소가 필요하지만, 겨우살이는 반대로 빛을 필요로 하고, 지하 수맥 교차점과 지구 격자 그물과 대각선 격자 그물이 동시에 교차하는 자리에서 잘 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