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10. 10. 07:13ㆍ기감학/기감봉-기감추
기감봉, 기감추의 종류
기감봉
옛날에는 나무 재질로 된 기감봉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현재에는 편리성 때문에 스테인레스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 또는 황동 재질의 기감봉을 사용한다.
텔레스코픽 기감봉: 일자형 기감봉, 접을 수 있는 안테나와 같은 모양
플라스틱 기감봉: 재질이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어 부러지지 않는다
청동 손잡이 스테인레스 기감봉: 예민한 기감 효과를 나타내고 부러지지 않는다
스테인레스 기감봉
황동제 기감봉
좁은 장소 사용 소형 기감봉
세탁소 옷걸이로 만든 기감봉
ㄱ형 기감봉
기감봉 잡는 법
상향 파지법
하향 파지법
일자 파지법
기감추
기감추는 황동 재질로 된 것이 좋다.
너무 무거우면 기감 조사자의 바이오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게 되어 쉽게 피로하게 되고,
너무 가벼우면 바이오 에너지는 적게 사용하나 기감추의 움직임 너무 예민하여 틀린 기감 조사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기감 조사 목적에 맞는 가장 적당한 무게의 기감추를 사용한다.
양쪽 기감추: 큰 기감추와 작은 기감추가 양쪽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2개의 기감추를 사용할 수 있다
물방울 모양의 기감추
다양한 모양의 기감추
보석 기감추-호안
무거운 기감추: 야외에서 바람이 불면 기감 조사 시 기감추가 흔들리지 않게 무거운 기감추로 기감 조사한다
기감추 잡는 법
기감하는 방법
필자가 "한국 정신 과학 학회 99 추계 학술 대회 및 제 2회 국제 기과학 대회 논문집, 라디에스테지 능력을 개발하는 방법, 1999 년 12 월"에 발표한 논문 중에서 인용하였다.
내용 중에서 바이오 에너지를 미세 에너지로, 지전류를 유해 지기로 용어를 바꾸었다.
"1. 기감 기구를 사용한 기감
모든 물질은 미세 에너지에 투과된다. 그러나 모든 물질이 균일하게 미세 에너지에 투과되지는 않는다. 동서남북 상하의 6 방향의 미세 에너지 흐름을 고려해 보면, 모든 물질은 모든 6 방향의 미세 에너지 흐름을 허용하지는 않는다. 우주로부터 오는 모든 방향의 미세 에너지(天氣)는 물질을 통과할 때 보통 6 방향 중 단지 한 방향으로 투과된다. 이런 필터 작용으로 물질에는 고유의 미세 에너지 이외는 버려지게 된다. 이러한 필터 작용을 미세 에너지 선택 투과 현상이라 부른다.
6 방향 모두 미세 에너지를 투과하는 합금이 있는데 바로 황동(Messing)이다. 이런 이유로 기감 능력자들은 다른 재료보다 우선적으로 황동을 기감추나 기감봉의 재료로 사용한다.
1.1. 기감추
기감추는 10 - 50 그램 정도의 무게를 가진 추에 실을 매달은 모양으로 돌, 플라스틱, 금속 등 여러 가지 재료가 사용되나, 미세 에너지를 잘 투과하는 황동이 좋다. 기감추의 모양도 아무 모양이나 상관이 없으나 수직 방향으로 대칭형이고, 공 모양에다가 끝이 뾰쪽한 기감추가 예민한 기감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기감추를 매달은 실도 모, 면, 나일론 등의 재료도 좋으나 너무 얇거나 두껍지 않은 것이 좋고, 황동 줄로 된 황동 기감추가 가장 좋다. 기감 능력자의 취향에 따라 가장 기감이 잘되는 기감추와 줄을 고르면 된다.
너무 무거운 기감추는 기감 능력자의 미세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여 기감 실습이나 기감 조사시 쉽게 피로해지고, 너무 가벼우면 야외에서 기감 조사시 바람에 기감추가 날릴 수 있으므로 자신에게 적당한 기감추의 무게를 선택한다.
기감추 줄의 길이가 약 5 - 8 cm 정도 되게 오른손 엄지와 집게손가락 사이에 기감추를 잡는다. 양팔은 팔꿈치를 펴지 말고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자세로 힘을 빼고 앞으로 내밀고, 오른손으로 기감추를 잡고서 명치와 배꼽 사이 중간 정도 배부근에서 약 20 - 30 cm 정도 떨어져 기감추를 잡은 손가락 끝이 위치하도록 하고 기감추를 잡은 손가락 끝이 자연스럽게 땅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잡는다.
왼손은 기감을 하는 안테나로 사용을 하고, 오른손은 기감추를 잡고서 기감 결과가 나타나도록 한다.
마음을 비우고 기감 능력이 살아나도록 긴장을 풀고서 기감추를 기감 능력자의 앞뒤로 흔들어 준다. 기감하는 대상의 바이오 에너지와 기감 능력자의 바이오 에너지가 서로 통하면서 기감추가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다.
기감 능력자의 취향에 따라 기감추의 움직임을 임의로 긍정 또는 부정의 방향으로 정할 수 있으나, 독일의 라디에스테지 학회에서 여러 라디에스테지 전문가들의 경험에 의해서 정한, 시계 방향으로 기감추가 회전할 때를 또는 앞뒤로 기감추가 흔들릴 때를 긍정적 기감 방향으로, 기감추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또는 좌우로 흔들릴 때를 부정적 기감 방향으로 표시한다.
기감하는 대상에 따라 완전한 회전 운동이 아닌 타원형이나 찌그러진 원형으로 불규칙한 기감이 될 때도 있다. 시계 방향으로 기감추가 회전 운동이 될 때를 기감하는 대상과 100 % 잘 맞는 경우이고, 타원형이나 찌그러진 원운동으로 기감추가 기감될 때는 기감추의 움직임을 보고 50-80 % 정도 잘 맞는 미세 에너지의 기감을 나타낸다.
기감추는 미세 에너지 소비량도 작고, 굉장히 예민한 기감을 나타내므로 초보자가 처음 기감을 배울 때는 기감추로 기감 연습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처음에는 나침반이나 동식물, 광물 등을 상대로 기감 연습을 하고, 기감 능력이 발전하여 확실한 기감이 되기 시작하면 사람의 미세 에너지나 땅의 미세 에너지를 기감해보고, 기감이 점점 더 발전하면 기감추를 사용하지 않고 손바닥으로 기감하도록 기감 수련을 한다. 손바닥으로 확실히 기감되면 기감 능력자의 온몸으로 기감하도록 한다.
1.2. 기감봉
기감봉의 재료는 강선, 플라스틱, 나무 등 여러 재료가 사용된다. 옛날 사람들은 Y 자 모양의 나무 가지를 꺾어서 기감봉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현대에는 기감봉의 손잡이는 황동으로 된 재료를 쓰고 기감시 예민하게 반응하는 강선을 주로 사용한 기감봉을 사용한다.
기감봉으로 기감시는 기감봉을 잡은 양손이 명치 위치에서 약 5 cm 정도 아래로 배와 약 10 cm 정도 떨어지게 기감봉을 잡는다.
유해 지기를 기감시는 천천히 걸으면서 유해 지기가 기감되는 곳에서 기감봉이 아래로 또는 위로 움직임이 나타나고, 강한 유해 지기 위를 기감봉이 지나갈 때는 기감봉이 날아 가 버릴 정도로 강한 힘이 작용을 한다. 지전류 기감시는 기감봉이 아래로 내려가는 움직임이 나타나면 기감 능력자가 미세 에너지를 받는 양으로, 기감봉이 위로 올라가면 미세 에너지를 뺏기는 음으로 기감한다.
약초나 음식 등 비교적 약한 미세 에너지를 기감시는 기감 대상의 미세 에너지가 기감자의 미세 에너지로 흡수되는 방향이면 기감봉이 위로 올라가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양으로, 기감자의 미세 에너지가 기감 대상의 미세 에너지를 거부하여 기감봉이 아래로 내려가는 움직임이 나타나 음으로 기감된다. 기감하는 대상에 따라서 기감봉의 움직이는 방향을 임의로 정하여 기감 능력자가 편리한 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감봉의 움직임이 올라가던가 내려가던가 하여 기감 능력자의 미세 에너지가 뺏기던가 받던가 기감봉으로 표시가 될 때, 기감봉의 움직임이 많이 움직이거나 작게 움직이게 된다. 기감봉이 움직이는 세기를 기감 능력자의 전체적인 또는 부분적인 미세 에너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판단하여 기감하는 대상의 미세 에너지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기감봉이 완전히 한바퀴 돌면 + 또는 - 100 % 의 기감 단위이고, 반 바퀴 돌면 50 % 등, 기감 능력자의 기감 예민도에 따라 기감 단위를 정한다.
더 기감이 발달하면 기감 대상이 기감 능력자의 어느 기관에 그리고 전체적인 미세 에너지가 순환하는 기문과 기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기감 가능하다. 기감봉은 기감 능력자의 미세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고 그리고 미세 에너지의 증폭이 강한 기감 기구이므로 기감시 주의를 하여야 한다.
기감봉을 잡을 때 손등이 하늘로 향하여 잡을 수도 있고, 손등이 땅으로 향하여 잡을 수 도 있다. 기감 능력자의 취향에 따라 기감이 예민하게 나타나는 방법을 선택하면 된다.
오스트리아의 유명한 라디에스테지 전문가 바이흘(Beichl)씨는 과도한 기감봉 사용으로 인체에 치명적인 땅의 바이오 에너지에 노출되어 6 가지의 암으로 사망하였을 정도로 기감봉의 사용이 좋은 영향의 미세 에너지뿐만 아니라 나쁜 영향의 미세 에너지의 영향을 증대시킨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조심스럽게 기감 조사를 하여야 한다.
기감추와 기감봉을 사용하여 기감 시험을 해보고 자신에게 맞는 기감 기구를 사용하면 된다. 기감추나 기감봉을 사용하여 기감이 발전하면 기감추에서 설명한 것같이 손으로 또는 온몸으로 기감하도록 한다.
1.3. 여러 가지의 기감 기구
ㄱ형으로 생긴 각 기감봉(角氣感棒, Winkelrute), ㄱ형으로 생긴 각 기감봉에 펴고 접을 수 있는 텔레스코픽 안테나(telescopic antenna)에 손잡이를 붙인 기감 존데(sonde), 막대기에 스프링을 연결하여 예민한 기감을 나타내는 한 손 기감봉(Einhandrute) 등 Y 형으로 생긴 기감봉을 응용한 여러 가지 기감봉이 있다.
기감 능력자는 여러 가지의 기감봉으로 기감 시험을 해보고 자신에게 잘 맞는 기감 기구를 선택하면 된다.
참고로 필자는 처음 기감 능력이 약할 때는 기감추와 기감봉을 사용하였으나, 기감을 가지고 난 후에는 양손으로 기감을 하고, 최종 기감 확인용으로 기감추나 기감봉을 잠깐 사용한다. 기감추와 기감봉은 인체에 나쁜 영향을 주는 미세 에너지를 증폭하므로 조심하여 기감 능력자의 미세 에너지 순환이 방해받지 않도록 기감 조사를 시행한다.
2. 기감 전문가의 기감
기감추와 기감봉으로 기감 실습을 꾸준히 하여 기감 능력이 향상이 되면, 기감추나 기감봉으로 기감시 기감하려는 대상의 미세 에너지가 왼손과 오른손으로 그리고 온몸으로 약한 전기가 통하는 느낌이 나던가 또는 미세 에너지가 존재하고 있는 공간으로 기감봉과 기감추가 진입을 하면 마치 벽을 만지는 느낌이 나기도 하고, 처음 기감할 때와는 다른 확실한 미세 에너지 기감 느낌을 느낄 시기가 온다.
기감 능력자의 기감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때이고, 이때가 되면 기감추나 기감봉을 사용하지 말고 양손으로 기감하려는 미세 에너지를 기감한다. 그리고 기감 능력자의 어느 기관이나 기문(氣門)과 기도(氣道)에 나쁜 영향 또는 좋은 영향을 미치는지 정확히 기감하여 기감을 분석한다.
기감 조사를 행하기 전에 충분히 기감 능력자의 미세 에너지를 유통시켜 기감 능력자의 미세 에너지가 기감 조사시에도 방해를 받지 않도록 주의하여 기감 조사를 하고, 기감 조사 후에도 기공 운동을 통하여 기감 능력자의 미세 에너지를 순환시켜서 원래의 미세 에너지 상태를 회복한다.
기감 능력자는 미세 에너지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그리고 기감 능력자의 미세 에너지가 다른 미세 에너지에 노출되더라도 방해받지 않을 정도로 강한 미세 에너지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예민하면서도 강한 미세 에너지 기감을 가지도록 기감 능력자는 항상 육체의 자신과 미세 에너지의 자신을 수련을 통하여 잘 연결시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