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감 능력자의 특징

2022. 10. 9. 09:12기감학/기감 능력자의 특징

기감 능력자

 

 

많은 사람들이 기감 능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한국 사람들은 기감 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대단히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필자가 독일에서 라디에스테지를 처음 배울 때 10 명의 독일 사람들과 같이 독일인 라디에스테지 전문가 크뢰거 씨(Radiaesthesie-Meister KROEGER)에게서 배웠는 데, 어느 독일인보다도 예민하고 섬세한 필자의 기감 능력을 확인 받았다.

 

한국 사람이 쓰는 말을 보면 “기”라는 말이 들어가지 않으면 말이 안될 정도로 많이 쓰고 있는 것을 보면 한국 사람의 생활이 바로 라디에스테지-기감학을 응용한 문화라고 필자는 생각한다.

풍수, 침술, 제사 등 수많은 우리 주위의 문화가 바로 기감학의 언어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은 필자의 경험으로 라디에스테지-기감 능력이 있는 사람이 가진 특징을 나타낸다.

 

01. 손톱 뿌리 부근에 있는 하얀 색의 반달이 10 손가락에 다 있고, 크고 뚜렷한 사람

 

02. 가운데 손가락과 집게손가락 끝의 길이 차이가 많이 나는 사람

 

03. 예감과 현실이 잘 맞는 사람

 

04. 첫 인상과 실제가 잘 맞는 사람

 

05. 영시, 영청 능력이 있는 사람

 

06. 이유 없이 자주 아픈 사람

 

07. 잠자리가 바뀌면 잠이 안 오고 불편하게 느끼는 사람

 

08. 머리가 좋은 사람

 

09. 꿈과 현실이 잘 맞는 사람

 

 

오스트리아의 폰 라이헨바하(Karl Freiherr von Reichenbach) 씨는 수많은 기감 능력이 뛰어난 예민한 사람들에게 공통적인 특징이 될 만한 여러 가지를 설문 조사하여 공통적인 요소를 종합 정리하였다.

 

(Georg Kirchner, Pendel und Wuenschelrute, Ariston-Verlag, Genf, 1977, p.30-31)

 

 

01. 기감 능력이 있는 예민한 사람은, 잠을 잘 때 험하게 자고 일어나 보면 이불을 바로 덥지 않고 있거나, 또는 아침에 일어나면 이불이 발 부근에 있거나 침대 밑에 떨어져 있을 정도로 몸부림을 많이 친다.

 

02. 더블 베드에서 다른 사람과 같이 자는 것을 좋아하지 않거나 불편해서 잘 수 없다.

 

03. 잠을 잘 때 몸의 우측 부분을 땅 쪽에 대고 잠을 잔다.

 

04. 사람들이 많이 모인 극장, 교회, 성당, 잔치 집 등을 싫어해서 가능하면 사람이 모인 장소를 피한다.

 

05. 사람들과 오른손으로 악수하는 것을 싫어해서 오랜 동안 오른손으로 악수를 하면 기분이 많이 나빠진다.

 

06. 구리나 은으로 만들어진 동전을 왼손에 쥐고 있으면 불편해진다.

 

07. 물이 담긴 유리잔을 왼손가락 모두를 사용하여 감싸 잡고 있을 때 비등산(沸騰散 ,Brausepulver)을 물에 타면 예민한 사람은 유리잔이 얼음과 같이 차갑게 느껴진다.

 

08. 양손의 손바닥을 힘있게 비볐을 때 오른쪽보다 왼쪽 손바닥이 따뜻하게 느껴진다.

 

09. 예민한 사람은 조금 신맛이 나는 사과나 오렌지를 좋아한다. 너무 신맛이 많은 샐러드 야채는 좋아하지 않는다. 반대로 지방질이나 단맛의 설탕류는 피하고, 커피를 마실 때 설탕을 조금 넣고, 아주 예민한 사람은 설탕 없이 마신다.

 

10.예민하지 못한 사람은 조용히 잠을 자나 예민한 사람은 말을 하면서 잔다. 아주 예민한 사람은 자면서 몸부림을 많이 치고, 자다가 머리를 쳐들기도 하고, 침대에서 일어나기도 한다.

 

11.예민한 사람은 노란 색이나 주황색을 싫어한다. 반대로 청색 계통의 색을 특히 좋아한다.

 

이상의 사항 중 9 - 11개가 해당되면 예민한 기감 능력을 가진 사람일 가능성이 많다.

 

기감 능력이 있는 사람도 기감추나 기감봉 기감 현상에 대해 미신적이거나, 과학적이 아니라는 부정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은 기감 능력을 개발하기 어렵다.

 

 

 

인간의 초능력

 

 

1. 박충서 씨의 초능력 분류

 

(박충서, 대한 초능력 학회지 제 12 권, 대한 초능력 학회, 부산, 1999, p.126-128)

 

박충서 씨는 초능력을 1) 현대 과학으로 설명이 안됨, 2) 보통 사람의 평상시 능력을 초월함, 3) 인간을 포함한 동물과 식물이 갖는 힘으로 정의하고 있다.

 

1> 초능력

 

가) 초감각적 지각(Extrasensory Perception, E.S.P.)

1) 투시, 천리안, 독심술

2) 정신 감응(Telepathy)

3) 예지

 

나) 염력(Psychokinesis, P.K.)

물체나 사람의 이동, 통과나 투과, 생성 소멸, 파괴, 재생, 복원, 공중 부양

 

2> 영능력

 

가) 정신적

EPS, 영시, 영청, 영언, 이언, 빙의, 유체 이탈, 저주, 재생, 심령측정(Psychometry), 심령치료

 

나) 물질적

PK, Apports, 노크 소리, 발자국 소리, 음악, 향, 냉기, 온기, 오라, 빛, 불덩어리, 염사, 자동 서기, 생물 발효, 성흔, Poltergeist

 

 

2. 독일의 이겐스베르크 씨의 초능력 분류

(Erik Igensberg, die Kraft des Denkens, Akademischer Verlag Dr. Peter Belej, Muenchen, 1981, p.130-131)

 

1) 텔레파시(Telepathie)

 

2) 텔레키네제(Telekynese)

 

3) 최면(Hypnose 또는 Suggestion)

 

4) 미래 예지(Praecognition)

 

5) 수상(手相, Chiromantie 또는 Chirographie)

 

6) 아포르테(Apporte)

 

7) 오라 투시(Aurasehen)

 

8) 공중 부양(Levitation)

 

 

3. 가장 정확한 측정 기구: 인간

 

인간의 감각 자체가 가장 어떤 컴퓨터보다도 더 정확하다. 우리는 배가 고프면 밥을 먹고, 먹는 음식의 맛을 보고 또는 냄새를 맡아보고 먹고 싶으면 먹고, 맛이 없거나 먹고 싶지 않으면 안 먹는다.

 

우리는 이러한 감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도 없고 그리고 분석하지 않는다. 현재의 과학 수준으로 내가 먹는 음식이 나의 어떤 기관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과연 내가 맛있게 먹고 있는 음식이 내 몸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지 또는 아닌지를 분석하고 조사하여 결과가 나오기까지 얼마나 방대한 학문이 동원되어야 하고, 그리고 시간과 경비가 들지 예상할 수 없다.

 

기감 전문가의 기감보다 더 정확한 어떤 과학적인 측정 장치는 없다. 기감 능력자는 기감추나 기감봉이나 또는 자신의 기감 능력으로, 예를 들어 사과의 미세 에너지의 기감 느낌이 자신의 미세 에너지 순환을 약하게 또는 방해하므로 지금은 사과를 먹지 않는 것이 좋겠다 라고 판단할 것이고, 소요 시간은 1 초도 걸리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