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 지기의 종류
유해 지기의 종류
필자가 "정종호, 한국 정신 과학 학회 99 춘계 학술 대회 논문집, 땅의 바이오 에너지, 1999 년 4 월" 에 발표한 논문 중에서 인용하였다.
내용 중에서 지전류를 유해 지기(有害地氣)로 용어를 바꾸었다.
지기는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땅의 바이오 에너지로 인간의 바이오 에너지 체로 흘러드는 바이오 에너지이고, 유해 지기는 땅위의 공간에 입체적으로 존재하는 인간의 바이오 에너지 체의 바이오 에너지의 순환을 너무 세게 하거나 또는 약하게 하여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바이오 에너지이다.
독일어권에서는 땅의 바이오 에너지를 연구하는 학문을 Geopathie 또는 Geobiologie 라고 부른다.
라디에스테지 전문가는 유해 지기의 흐르는 방향, 폭, 세기, 그리고 유해 지기가 인간의 바이오 에너지 체에 미치는 영향을 기감추(Pendel), 기감봉(Wuenschelrute), 또는 기감 존데(Sonde) 등의 기감 기구를 사용하거나 또는 라디에스테지 능력자는 자신의 라디에스테지 능력으로 기감 할 수 있다.
유해 지기는 여러 종류가 발견이 되었고, 규칙적으로 분포하는 것도 있고 불규칙적인 것도 있다.
평면적으로는 동서, 남북 방향으로, 북서, 남동, 북동, 남서 방향의 대각선 방향으로, 입체적으로는 수평, 수직, 사선 방향 등으로 분포하는 유해 지기도 있고, 그리고 연속적인 유해 지기도 있고, 중간에 끊어졌다가 다시 나타나는 유해 지기도 있다.
사람이 유해 지기 상에서 오래 머물게 되면, 자신의 바이오 에너지의 흐름이 유해 지기의 영향으로 유해 지기의 흐름 상에 놓였던 인체 부분의 바이오 에너지의 흐름이 너무 강해지거나, 너무 약해지거나 하여 바이오 에너지 순환에 이상이 생겨서 좋지 않은 영향을 받는다. 특히 잠자리나 학생들의 공부방, 회사의 사무실 자리 등의 장시간 머무는 자리는 유해 지기의 영향이 없는 자리를 선택하여야 한다.
1. 삐르(Peyre) 씨의 그물 격자
프랑스 출신의 의사인 삐르(Peyre) 씨는 1937 년 동서, 남북 방향의 4m * 4m 간격을 가진 사람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그물 모양의 유해 지기를 발표하였으나 얼마 있지 않아 세계 제 2 차 대전이 발발하여 라디에스테지 계의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2. 비트만(Wittmann) 씨의 극장(Polare Felder, 極場)
1923년부터 라디에스테지 조사를 시작한 독일인 지크프리트 비트만(Siegfried Wittmann) 씨는 1945 년 새로운 집으로 이사를 하였다. 당연히 이사 전에 수맥의 유해 지기를 조사하여 수맥의 유해 지기의 영향이 없는 집으로 이사 갔으나, 수맥의 유해 지기하고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유해 지기 때문에 아프게 되었다.
비트만 씨는 힐러(Hiller) 씨라는 라디에스테지 전문가와 교분을 가졌는 데, 힐러 씨는 우물 자리를 찾아달라는 의뢰를 받고 기감봉으로 수맥의 기감 느낌이 나는 한자리를 잡아주어 심정 개발 장비로 우물을 개발하였으나 아무런 물을 찾을 수 없었다.
비트만 씨는 힐러 씨가 수맥이라고 잡아준 우물 자리와 자신의 집을 체계적으로 재조사하여 일생의 최대 발견을 하게 된다. 힐러 씨가 수맥의 유해 지기라고 기감한 자리가 바이오 에너지를 받는 양(+)의 극장(極場)의 중심점이었던 것이다.
비트만 씨는 프랑스인 삐르(Peyre) 씨의 연구에 대해 아는 바 없었고, 삐르(Peyre) 씨와는 독립적으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극장 또는 대각선 격자(Diagonalgitter)라고 부르는 이 유해 지기는 북서-남동, 북동-남서, 동-서, 남-북의 4 방향의 4개의 선으로 이루어진 유해 지기로 위도 48 도인 독일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길이 15.8 m, 동서, 남북 방향으로 22.5 m 의 크기를 가진 유해 지기 구조를 나타낸다.
대각선 방향으로 길이 15.8 m * 15.8 m의 정사각형의 중앙에는 양(+)의 극성 또는 음(-)의 극성의 2.45 m의 직경을 가진 중심점을 가지고, 중심점에서는 4 개 방향으로 4 개의 선으로된 유해 지기가 모두 만나고, 중심점에서 4 방향으로 뻗어 나가서 다른 극성을 가진 중심점에서 4 방향으로 뻗어 나온 유해 지기와 겹쳐지는 8 개의 부 중심점을 이루고 부 중심점의 직경은 60 cm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
비트만 씨의 경험에 의하면 (+) 중심점에서는 바이오 에너지의 흐름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고 기감추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예민한 사람은 바이오 에너지를 받아서 순간적으로는 기분이 좋아진다. 그러나 오래 머물면 바이오 에너지가 너무 세어져서 암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대로 (-) 중심점에서는 아래에서 위로 바이오 에너지의 흐름이 나타나고 바이오 에너지를 다 빼앗겨서 힘이 빠진다. 마이너스 극성에서 오래 머물면 바이오 에너지가 뺏겨서 염증이 생길 가능성이 많아진다.
(+) 극장의 중심을 가진 부 중심점은 모두 중심점의 극장과 같은 극성을 가지게 있고 한 극장과 이웃한 극장은 극성이 반대인 중심점과 부 중심점을 가진다.
두 극장이 만나는 극 경계 면은 북위 48도 선상인 남독일 에서는 12 cm의 폭을 가진 입체적인 선으로 나타난다.
북극과 남극에서는 극장의 크기가 0 이 된다. 그리고 적도에서는 극장의 대각선의 길이가 32 m 정도 되고, 체옵의 피라미드가 있는 위도 30도 상의 이집트에서는 약 30m의 길이를 나타낸다.
3. 하르트만 격자(Hartmann-Netz) 또는 제 1 격자
1951 년 의사이면서 라디에스테지 전문가인 독일인 하르트만 씨가 발견한 격자 모양의 유해 지기이다. 하르트만 씨는 이 유해 지기를 Globalnetzgitter(지구 그물 격자, 약어로는 GNG)라고 불렀으나, 지금은 제 1 격자 또는 하르트만 격자라고 부른다.
현재까지 제 1 격자를 연구한 바에 따르면, 이 격자가 생긴 원인을 우주에서 기인한다고 보고 있다. 즉, 태양의 전자기파가 이 격자를 생성시켰다는 이론이다. 이 격자는 21 cm 파장의 수소 원자의 정지 전파로 이루어져 있고, 지구의 자기장의 영향으로 남북 방향을 가지고 있다는 가설이다. 그러나 여러 별들에게서 보내지는 전파를 연구하는 전파 천문학(Radioastromie)이라는 학문 분야도 있는 것을 보면 차차 하르트만 격자를 생성시킨 원인도 밝혀질 것이다.
하르트만 격자는 남북, 동서의 방향을 가지고 있고, 수맥의 유해 지기의 영향을 받으면 하르트만 격자의 그물 모양의 구조가 변형이 된다. 남부 독일에서는 평균 남북/동서 방향으로 2.0 m/ 2.5 m, 폭 20cm이나 지역에 따라 변한다. 제 1 격자는 상대적으로 인간에게 덜 유해하다.
다음은 유럽 여러 지역의 하르트만 격자의 실측치로, 남북/ 동서 (m) 방향의 간격을 나타낸다.
스웨덴 스톡홀름 1.0/2.35, 덴마크 코펜하겐 1.0/1.75, 독일 함부르크 1.0/1.75, 베를린 1.2/2.2, 뮌헨 1.7/2.75, 로젠하임 1.8/2.85, 이태리 밀라노 1.7/2.75, 로마 2.0/2.30
부산 해운대 좌동 13층 아파트 실측치 1998.12.12. 21:05, 1.98/2.13 동서폭 36cm 남북폭 23cm
4. 쿠리 격자(Curry-Netz) 또는 제 2 격자
제 2 격자는 독일인 의사였던 만프레드 쿠리(Manfred Curry) 씨가 발견하였다.
쿠리 씨는 쿠리 격자의 폭이나 간격이 변함이 없다고 생각했으나, 최근 들어 소련의 라디에스테지 전문가인 슈쉬닉(Schuschnigg) 씨에 의하면 로케트 발사 후의 쿠리 격자를 측정한 결과 쿠리 격자의 변동을 측정하였다.
쿠리 격자는 북동, 남서와 북서, 남동의 방향으로 존재하는 유해 지기로, 동서- 남북의 대각선 방향으로 입체적인 격자 구조를 가지고 있고, 유해 지기 간격은 3-4 m으로 측정이 된다. 폭은 50-80 cm 이나 날씨 및 지역에 따라 가변적이다.
쿠리 격자의 유해 지기를 기감해 보면, 기감된 쿠리 격자의 유해 지기가 인간의 바이오 에너지를 크게 하면(+), 다른 쿠리 격자의 유해 지기가 인간의 바이오 에너지를 작게 하면(-), 두 유해 지기가 만나는 교차점도 (+) (+)와 (-)(-)가 만나면 (+), (+)(-)나 (-)(+) 의 쿠리 격자가 만나면 (-) 의 성질을 가진다.
쿠리 격자는 사람의 바이오 에너지 체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쿠리 격자는 강력한 유해 지기로 라디에스테지 집 조사 시 쿠리 격자를 피한 자리에 잠자리를 잡아주어야 한다.
부산 해운대 좌동 아파트 13층 실측치1998.12.12. 21:10
북동-남서 4.3 m 폭 63cm * 북서-남동 4.12 m 폭 74 cm
5. 정중선(定中線, Mediallinie) 또는 제 3 격자
땅위에서 격자 구조의 유해 지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곳은 없다. 제 3 격자는 독일의 물리학자인 쉬나이더(Reinhard Schneider) 씨가 발견하였고, 제 3 격자는 제 2 격자 구조인 쿠리 격자와 나란히 존재하기도 하고 때로는 제 2 격자와 편향되기도 한다.
제 3 격자 구조가 무조건 인간에게 나쁜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제 3 격자 구조가 겹치는 자리나, 제 3 격자 구조와 다른 유해 지기들이 여러 개 겹치는 자리는 인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제 3 격자는 일명 능변의 선(die Linie der Beredsamkeit) 또는 신성한 선(linea sancta)으로 불린다. 제 2 격자인 쿠리 격자와 나란히 중첩되어 + 극성의 제 3 격자가 겹치는 자리는 성당이나 교회에서 사제나 목사들이 강론이나 설교를 하는 자리(Kanzel, 설교단)로 자리를 잡아 제 3 격자의 긍정적인 유해 지기의 영향으로 청산유수와 같은 강론 또는 설교를 할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수맥의 유해 지기도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만이 아니다. 수맥의 8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흐르는 수맥이고, 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흐르는 수맥인 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흐르는 두 개의 수맥의 교차점도 설교 또는 강론하는 목사 또는 사제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흐르는 수맥의 유해 지기를 받아서 신도들을 감동시키는 설교 또는 강론을 할 수 있다고 한다.
6. 불변 지하 지전류 지역(不變地下地電流地域, Geomantische Zonen)
불변 지하 지전류 지역의 Geomantie 는 Deutung aus der Erde(땅으로부터의 점침)이라는 뜻으로 이제까지 살펴본 제 1, 2, 3 격자 구조와는 성격이 많이 다른 유해 지기를 말한다. 불변 지하 유해 지기 지역은 유해 지기의 발생 원인이 땅속에 있는 유해 지기이다.
이 유해 지기는 항상 변하지 않고 지상으로 유해 지기를 뿜어내는 유해 지기로, 수 Km에 걸쳐서 유해 지기가 갑자기 없어 졌다가, 갑자기 다른 방향으로 유해 지기의 방향이 바뀌다가, 또 원래의 방향으로 원위치 되어 유해 지기의 방향이 나타나는 아직 그 생성 원인을 모르는 유해 지기를 말한다. 라디에스테지 전문가들이 이런 특성을 가지 유해 지기를 불변 지하 유해 지기 지역(Geomantische Zonen)이라고 이름을 붙여 놓았다.
지금도 남아있는 오스트리아 비인(Wien) 근처의 클로스터노이부룩(Klosterneuburg)의 로마 시대의 영토 경계선인 리메스(Limes, 고대 로마인이 쌓았던 국경 첩벽)는 지금도 남아 있고, 중세 카톨릭 주교의 관구(Bistum)로 그대로 이어져 고대 로마인들의 영토 경계선과 일치한다. 이런 경계선은 더 오래 전인 켈트족들이 살던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오랜 역사를 가졌다. 오스트리아의 바트 고이전(Bad Goisern)에서 멀지 않은 곳에 초기 철기 시대의 중유럽 문화(Hallstattkultur) 유적지 근처의 칼름베르크(Kalmberg)라는 켈트족들이 신성시 여긴 산이 있는 데, 켈트어인 Kalettos(schuetzen, 보호하다)라는 말에서 유래한 산 이름이라고 한다.
독일 쉬투트가르트(Stuttgart) 근교의 호흐도르프(Hochdorf)의 기원전 300년 전의 도굴되지 않은 켈트족 무덤 유적지에는 시계 방향의 기감추 회전, 즉 양(+)의 극성을 가진 불변 지하 유해 지기대에 시신을 위치시켜 시신에 약품을 넣지 않고 미라로 만드는 자리를 켈트족의 사제(드루이던<Druiden>이라고 부른다.)들이 선택했다고 한다.
불변 지하 유해 지기대는 어디든지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특정한 지역에 기감추와 기감봉을 사용하여 기감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고, 그물과 같은 구조를 하고 있다. 지역에 따라서 (+) 또는 (-)의 극성을 가지고 있고, 유해 지기의 폭이 몇 m 에 달할 정도로 넓고 유해 지기의 간격도 넓다. (+) 극성을 가진 유해 지기는 좋은 영향을 인간에게 주는 반면에, (-) 극성을 가진 유해 지기는 인간에게 나쁜 영향을 미친다.
7. 수맥(Wasserader)
수맥 참조
8. 단층(fault, Verwerfung)
땅속의 지층이 어긋나면서 강력한 압력을 받아 변형된 면에서도 강력한 유해 지기가 뿜어져 나온다. 필자는 여러 지층이 땅 밖으로 노출된 도로 공사장을 찾아가서 여러 지층을 기감 조사하였다. 지층이 어긋난 층을 따라서 유해 지기가 뿜어져 나온 것을 기감할 수 있었다.
단층 사이로 지하 수맥이 흐르는 곳에서는 지하 수맥의 유해 지기와 단층의 유해 지기가 합쳐져 강력한 유해 지기를 뿜어낸다. 단층의 유해 지기의 기감 느낌은 불규칙하게 세었다가 약했다 하면서 넓은 공간에 유해 지기가 분포한다. 그리고 단층의 유해 지기는 땅위의 공간에 직각이 아닌 비스듬하게 뿜어져 나오는 유해 지기로 기감되는 경우가 많다.
단층 지역은 어느 특정한 곳에 단층의 유해 지기가 특히 센 곳이 있고, 단층의 유해 지기와 여러 가지 유해 지기가 겹쳐지면 인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9. 광맥
석탄, 원유, 금속 광맥이 있는 곳에서도 광맥의 유해 지기가 형성되어 사람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특히 미국인 브라운(Paul Clement Brown)씨는 MIT에서 전기공학을 전공한 사람으로 모빌 석유 회사(Mobil Oil Company)에서 기감추로 지도상에서 원유 매장 가능성이 있는 시추할 자리를 잡아 주는 일을 하였다.
브라운 씨가 25년간의 원유 매장 자리를 기감으로 잡아 주고 성공한 사례는 원유 시추 업계에는 잘 알려진 일이고, 브라운 씨에 의하면 원유가 특별히 많이 생산되는 중요한 유전은 지질학자보다도 원유를 기감하는 라디에스테지 전문가들이 더 많이 발견했다고 말하고 있다. 미국 텍사스의 마샬(Marshall)과 롱뷰(longview)사이의 유전은 유명한 라디에스테지 전문가 조이너(Ol' Dad Joiner) 씨가 소유한 땅에서 자신의 라디에스테지 능력으로 처음으로 발견하였다.(Christopher Bird, Wuenschelrute, Moos. 3.Auflage, Muenchen, 1987, p.136-149)
그리고 오스트리아의 첫 유전은 1932 년 유명한 라디에스테지 전문가 바이흘(Beichl) 공병 대령의 수제자인 무질(Musil) 소령이 기감봉을 사용하여 치스터도르프(Zisterdorf)에서 발견하였다.(Kaethe Bachler, Erfahrung einer Rutengaengerin, Veritas-Verlag, 8.Auflage, Linz, 1983, p.33)
바이흘 공병 대령은 오스트리아의 수도 비인 의 온천 수맥을 기감봉으로 조사하여 온천 지도를 그린 사람으로 유명하다. 그가 중위 시절에 합스부르크 가문의 프란쯔 요셉 황제(Kaiser Franz Joseph)가 야전군 훈련을 사열하다가 잃어버린 시계를 기감봉으로 찾아 주어 유명하게 되었고, 그 후 황제의 명령으로 폴란드의 남부 지방인 갈리시아와 유고슬라비아의 산악 지대(Herzegowina)를 여행하여 충분한 지하 수맥을 기감 조사하는 한편, 예민한 기감 능력을 가진 장교들을 양성하였다.
바이흘 씨는 취미로 밤에 혼자서 비인 의 온천 지도를 기감봉의 기감을 통하여 작성하였다. 일차 대전 동안은 바이흘 대령은 육군 부대에 물을 조달하는 임무를 맡았고, 두 사람의 기감 능력자를 양성하였을 데, 무질(Musil) 소령과 레빈 (Lewin) 대위였다. 2차 대전 당시 독일군도 라디에스테지 능력자를 특별 관리하였다고 한다.(Mayer/Winklbaur, Biostrahlen, Verlag ORAC, 4.Auflage, Wien, 1986, p.22-24)
10. 인간의 기술이 창조한 유해 지기
T.V., 라디오, 컴퓨터, 휴대 전화기 그리고 고압선 등의 문명의 이기도 유해 지기와 유사한 성질을 가진 바이오 에너지를 발산한다. 기감해 보면 모두 차가운 성질을 가지고 있고 기감추로는 시계 반대 방향의 회전을 보이는 음(-)적인 회전 방향으로 기감되고, 기감봉으로도 마찬가지로 음적인 방향으로 기감봉의 움직임이 나타난다.
모든 전기 전자 기기는 사용할 때 사람과는 되도록 멀리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고, 특히 휴대 전화기나 고압선은 강한 유해 지기와 유사한 성질을 가진 사람에게 나쁜 영향을 주는 바이오 에너지를 발산한다.